티스토리 뷰
CDN(Content Delivery Network)
- 서버와 사용자 간 물리적인 거리를 줄여 콘텐츠의 지연을 최소화 하는 시스템이다.
- main server가 한국의 서울에 위치하고 있고, 영국의 한 사용자가 이 서버를 사용하려고 할 경우를 생각해보자.
- 이럴 경우 물리적으로 지구 반대편의 서버에 까지 request를 보내고, 다시 지구 반대편을 돌아 response를 받는데 이는 물리적인 거리가 먼 만큼 지연 시간도 길어진다.
- 또한 main server에 모든 사용자가 접근하려고 할 경우 막대한 트래픽이 발생하여 서버에 부하를 줄 리스크도 있다. - 이러한 단점을 CDN으로 보완할 수 있다.


- CDN을 사용할 경우 아래의 그림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.

- 글로벌 서비스는 이러한 CDN방식을 사용하여 서비스할 수 있다.
- 여러 지역에 CDN을 두고 저장해서 이를 가져오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Distrubuted System이라고도 한다.
- CDN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품으로 AWS Cloudfront, Cloudflare등이 있다.
'시스템 디자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스템 디자인 5주차 (0) | 2021.08.13 |
---|---|
시스템 디자인 4주차 (0) | 2021.07.31 |
시스템 디자인 3주차 (0) | 2021.07.21 |
시스템 디자인 2주차 (0) | 2021.07.18 |
시스템 디자인 (0) | 2021.07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