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로드 밸런서란?
만약 트래픽을 감당하는 서버가 하나일때, 대량의 트래픽이 발생할 경우, 부하를 감당하지 못할 수 있다.
이 경우 하나의 서버가 아닌 2개 이상의 서버를 두고 트래픽을 분산시켜서 서버를 감당하도록 할 수 있다.
이때 로드 밸런서는 각 서버로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.
로드 밸런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사이에 위치하여 하나의 서버에 트래픽이 집중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서버의 성능을 최대한 사용한다.
로드밸런싱 알고리즘의 종류
Round Robin
- 들어온 Request를 차례대로 서버에 분산 처리
Weigthed Round Robin
- 각 서버에 가중치를 두고 가중치가 높은 서버(EX. 서버의 성능이 높을경우 가중치를 높게 설정)에 Request를 우선적
으로 배분
Least Connection
- 들어온 Request가 가장 적은 서버를 선택하여 Request를 배분
Weigthed Least Connection
- Least Connection와 같지만 가중치를 두어 Request를 배분
IP Hash
- 클라이언트의 IP주소를 특정 서버에 Mapping하여 Request를 배분
Least Response Time
- 실시간 Server의 상태와 request/response를 고려하여, 들어온 Request가 가장 적고, 가장 짧은 응답시간을 가진 서버에 배분
'Computer Scie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eb Socket, 웹 소켓 (0) | 2021.06.06 |
---|---|
Compile, Interpret (0) | 2021.04.09 |
자료구조(Data Structure) (0) | 2021.03.12 |
[Network] OSI 7 Layer (0) | 2021.03.11 |
Hardware(하드웨어) / Middleware(미들웨어) / Software(소프트웨어) (0) | 2021.03.07 |